협회-공제조합, 언론의 무분별한 사용 지적하며 주의 당부

▲ 조선일보 2019년 7월 16일자 A18면 기사.
▲ 조선일보 2019년 7월 16일자 A18면 기사.
방문판매, 다단계판매 등 직접판매 업계를 대변하는 한국직접판매산업협회(회장 박한길 애터미 회장)와 두 공제조합이 언론의 ‘다단계’ 용어 오용에 대해 한 목소리로 자제를 요청했다.

 
 
직접판매산업협회, 직접공제조합(이사장 오정희), 한국특수판매공제조합(이사장 유재운)은 5일 조선일보 오피니언면(A32면) 투고를 통해 “다단계판매와 무관한 금융사기 사건을 소개하며 ‘다단계 금융사기’라고 표현해 마치 모든 다단계는 사기 아니냐는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있다”며 “언론은 유사수신 사기, 보이스피싱, 불법 피라미드 사기 등을 보도할 때 ‘다단계’라는 용어를 오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선일보는 지난 7월 16일자 A18면 기사에서 “인도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남부 도시 벵갈루루에서 4300억원 규모의 금융 다단계 피해가 발생해 현지 경찰이 수사 중”이라며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인도 데칸헤럴드 등 외신에 따르면 인도 경찰은 유사수신 회사인 ‘I통화자문(IMA)’의 회장 무함마드 만수르 칸을 쫓고 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4300억원대 할랄금융 다단계 사기, 인도 실리콘밸리 강타’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칸은 2006년 IMA를 설립한 이후 투자자를 모으며 돈을 받아왔다”며 “이른바 ‘폰지사기’라 불리는 유사수신”이라고 소개했다.

하지만 신문은 이 사건에 대해 “고액의 이자를 약속하고 투자금을 받은 다음 후순위 투자자의 돈으로 선순위 투자자의 이자를 지급하는 사기”라면서도 ‘다단계 금융사기’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 조선일보 9월 5일자 A32면 투고 내용.
▲ 조선일보 9월 5일자 A32면 투고 내용.
신규 투자자의 돈으로 기존 투자자에게 이자나 배당금을 지급하는 방식의 금융사기는 흔히 폰지사기(Ponzi Scheme)로 불린다. 1920년대 미국에서 찰스 폰지(Charles Ponzi)가 벌인 사기 행각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이다.

이탈리아 태생으로 1903년 미국으로 건너온 찰스 폰지(1882~1949)는 1919년 국제우편 요금을 지불하는 대체수단인 국제우편쿠폰이 당시 제1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초래된 큰 폭의 환율 변동을 적용하지 않고 전쟁 전의 환율로 교환되는 점에 착안해 해외에서 이를 대량으로 매입한 뒤 미국에서 유통시켜 차익을 얻는 사업을 시작했다.

보스톤에 회사를 차린 폰지는 45일 후 원금의 50%, 90일 후 원금의 100%에 이르는 수익을 지급하겠다고 약속하고 투자자를 모집했다. 투자자들은 약정된 수익금이 지급되자 재투자를 하는 동시에 자신의 지인을 2차 투자자로 모집하며 투자 총액은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났다. 폰지는 불과 몇 개월 만에 갑부가 되었다.

하지만 국제우편쿠폰은 폰지가 투자받은 만큼 많이 유통되지 않았고, 또 보스톤우체국은 폰지가 구상한 방식의 국제우편사업을 허용한 전례가 없었다.

국제우편쿠폰을 환전하는 데는 폰지가 투자자들에게 약정한 기일보다 훨씬 더 오래 걸린다는 등의 의혹이 제기되면서 불안감을 느낀 투자자들이 투자금을 회수하기 시작하면서 폰지는 순식간에 몰락하고, 1920년 8월 폰지는 결국 파산신고를 하고 이어 사기 혐의로 구속됐다.

직접판매산업협회와 특판조합, 직판조합은 공동 투고에서 “4300억원대 할람금융 사기는 ‘금융 피라미드 사기’로 표현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단계판매업은 방문판매법에 따라 등록된 유통 방식의 한 형태로, (업체들은) 공제조합에 가입돼 있다”며 “다단계판매업은 지난해 기준 연 매출 5조2208억원을 올리는 건전한 산업인데도 사회적 파장이 큰 사건에 ‘다단계’라는 용어를 잘못 사용하는 바람에 다단계판매 업체 및 판매원들의 명예를 훼손하고 업계 이미지를 떨어드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용어 사용에 있어 주의를 당부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매일마케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