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이나물은 독초 ‘박새’와 오인‧혼동하기 쉬워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는 매년 봄나물과 유사한 독초를 잘못 채취‧섭취하여 발생하는 식중독이 줄지 않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17일 밝혔다.

지난 10년 동안 독초를 산나물로 오인‧섭취하여 발생한 안전사고는 총 25건(86명)으로 이 중 3명이 사망하였으며 주로 봄철인 2월에서 5월 사이에 많이 발생했다.

이처럼 봄철에 독초로 인한 식중독이 자주 발생하는 이유는 봄에는 꽃이 피기 전 싹이 돋아나는 시기에 봄나물과 독초를 구별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보드랍고 담백한 맛이 나는 ‘원추리’는 ‘여로’라는 독초와 오인‧혼동하기 쉬운데 여로는 잎에 털과 깊은 주름이 있는 반면 원추리는 잎에 털과 주름이 없다.

▲ 강원도 한 농가에 명이나물이라 불리는 '산마늘'의 새순이 돋아 봄을 알렸다. 명이나물은 ‘박새’라는 독초와 오인‧혼동하기 쉽다.
▲ 강원도 한 농가에 명이나물이라 불리는 '산마늘'의 새순이 돋아 봄을 알렸다. 명이나물은 ‘박새’라는 독초와 오인‧혼동하기 쉽다.

원추리와 여로 모두 ‘콜히친(Colchicine)’이라는 수용성 알칼로이드 독성분이 있으며 이 성분은 식물이 성장할수록 강하다. 원추리의 경우 반드시 봄에 채취한 어린잎만 나물로 섭취해야 한다.

주로 명이나물로 불리고 마늘향이 나는 ‘산마늘’은 ‘박새’라는 독초와 오인‧혼동하기 쉽다. 산마늘은 마늘냄새가 강하면서 한 줄기에 2~3장의 잎이 달리는 반면 박새는 잎이 여러 장 촘촘히 어긋나게 달려있고 주름이 뚜렷한 특징이 있다.

쌉싸름한 맛이 특징인 ‘곰취’는 ‘동의나물’이라는 독초와 오인‧혼동하기 쉽다. 곰취는 향이 좋으면서 잎의 끝이 뾰족한 반면 동의나물은 향이 없고 잎의 끝이 둥그스름하고 무딘 형태를 하고 있다.

씹히는 맛이 연하고 독특한 향기가 나는 ‘우산나물’은 ‘삿갓나물’이라는 독초와 오인‧혼동하기 쉽다. 우산나물은 잎의 가장자리가 깊게 2열로 갈라지는 반면 삿갓나물은 가장자리가 갈라지지 않은 잎이 6~8장 돌려나는 특징이 있다.

봄나물은 먹을 수 있는 것이라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소량의 독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충분한 지식 없이 야생식물을 함부로 채취‧섭취하는 것은 위험한 행동이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봄나물 채취 시 경험이 없는 사람은 봄나물의 구분이 쉽지 않아 가급적 채취를 금하며, 채취 할 때는 봄나물에 대한 사전 지식을 충분히 익혀야 한다. 봄나물인지 확실하지 않다면 채취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흔히 먹는 고사리, 두릅, 냉이 등도 반드시 끓는 물에 충분히 데쳐 먹어야 한다. 주로 날로 먹는 달래, 참나물, 돌나물, 씀바귀 등도 물에 담가 흐르는 물에 3회 이상 세척하여 식중독균 및 잔류농약 등 유해 성분을 제거해야 한다.

만약 봄나물 섭취 후 마비, 복통 등 이상증세가 나타나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이때 남은 독초를 함께 가져가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식약처는 “일반인은 봄나물과 독초를 구분하기가 쉽지 않아 지나다가 보더라도 채취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며 “전문가가 채취한 봄나물을 섭취하는 것이 독초로 인한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매일마케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